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지구의 날 소등행사
    지구의 날 소등행사

     

    2025년 4월 22일은 제55회 지구의 날로, 전 세계적으로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다양한 행사가 진행되었습니다. 특히 올해의 주제는 "우리의 힘, 우리의 지구(Our Power, Our Planet)"로, 재생 가능 에너지 확대와 기후 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 2025년 지구의 날 개요

    • 날짜: 2025년 4월 22일 (화요일)
    • 주제: 우리의 힘, 우리의 지구(Our Power, Our Planet)
    • 목표: 2030년까지 전 세계 재생 가능 에너지 생산량을 세 배로 증가시키는 것

    이번 주제는 태양광, 풍력, 수력, 지열, 조력 등 재생 가능 에너지의 확대를 통해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구축하자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 지구의 날의 역사와 의미

    지구의 날은 1970년 4월 22일, 미국 상원의원 게일로드 넬슨의 제안으로 시작되었습니다. 당시 2천만 명의 미국 시민이 환경 보호를 위한 시위에 참여하였으며, 이는 미국 환경보호청(EPA) 설립과 주요 환경 법안 제정의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후 1990년부터는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어, 현재는 매년 4월 22일을 '국제 어머니 지구의 날(International Mother Earth Day)'로 기념하고 있습니다. 

    지구의 날 소등행사

    한국에서의 지구의 날 행사

    1. 기후변화주간 운영

    환경부는 4월 21일부터 25일까지 '2025 기후변화주간'을 운영하며,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환경 관련 행사를 진행했습니다.

    2. 소등 행사

    4월 22일 오후 8시부터, 전국적으로 10분간 소등 행사가 진행되어 에너지 절약과 기후 변화 대응의 중요성을 알렸습니다. 

    3. 부산시의 기후변화주간 행사

    부산시는 제17회 기후변화주간을 맞아 4월 25일까지 다양한 환경 보호 행사를 개최했습니다.

     

     

    🔌 2025년 지구의 날 소등행사

    🌉 지구의 날 소등행사 개요

    2025년 4월 22일, 제55회 지구의 날을 맞아 한국 전역에서 '전국 소등행사'가 진행되었습니다. 이 행사는 저녁 8시부터 10분간 불을 끄는 것으로,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에너지 절약과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되새기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일시: 2025년 4월 22일(화) 오후 8시~8시 10분
    • 주최: 환경부 및 전국 17개 광역시도
    • 참여 대상: 정부청사, 지자체 청사, 기업, 공공기관, 일반 가정 등
    • 목표: 에너지 절약과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국민 인식 제고

    이 행사는 환경부가 주관하는 '2025년 기후변화주간'(4월 21일~25일)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전국적으로 다양한 기관과 시민들이 참여하였습니다.

    지구의 날 소등행사

    🌉 주요 참여 시설 및 지역

    다양한 지역의 상징적인 건물과 시설들이 소등행사에 참여하였습니다:

    • 서울: 서울·과천·세종 정부청사, 롯데호텔, 포스코타워 등
    • 부산: 광안대교, 부산시청 등
    • 수원: 화성행궁 등
    • 기타 지역: 전국의 지자체 청사 및 주요 건물들

    이러한 참여는 지역사회와 기업, 공공기관이 함께 환경 보호에 동참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 소등행사의 효과

    10분간의 소등으로도 상당한 에너지 절약과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기대됩니다. 예를 들어, 2020년 기준으로 10분간의 소등으로 약 53톤의 온실가스와 10만 kWh의 전력을 절약한 바 있습니다. 이는 약 30년 된 소나무 8,000그루가 1년간 흡수할 수 있는 탄소량과 비슷한 수치입니다.

    지구의 날 소등행사

    📣 시민 참여 및 캠페인

    각 지자체는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캠페인을 진행하였습니다:

    • 김해시: '지구야 고마워' 온라인 이벤트를 통해 시민들의 지구에 대한 감사 메시지를 모집하였습니다.
    • 오산시: 인스타그램 릴스를 활용한 소등 캠페인을 진행하여 시민들의 참여를 독려하였습니다.
    • 서울시: 서초구청에서 텀블러 기부 퍼포먼스, 업사이클링 전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습니다.

    이러한 캠페인은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환경 보호를 실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습니다.

     

    2025년 지구의 날 소등행사는 단순한 불 끄기를 넘어, 에너지 절약과 환경 보호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높이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행사를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실천이 이어지기를 기대합니다.

    📝 결론

    2025년 지구의 날은 재생 가능 에너지 확대와 기후 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전 세계적으로 환경 보호를 위한 다양한 활동이 진행되었습니다. 한국에서도 정부와 시민들이 함께 참여하여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노력을 이어갔습니다. 앞으로도 지구의 날을 계기로 환경 보호에 대한 관심과 실천이 확산되기를 기대합니다.

    지구의 날 소등행사

    반응형